CONTENTS Vol. 415 2024.07
발행인 생각
10 1등만 주목하는 사회 – 이홍경
NEWS
12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이달 24일 개막 외 – 윤태경
COVER STORY
16 섬세하게 친밀하게 기타리스트 박규희 – 김희선
한국과 일본, 유럽을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 중인 기타리스트 박규희는 고운 외모와 달리 여전사 같은 행보를 보여주는 연주자다. 클래식 기타를 알리고 전하기 위한 그녀의 아름다운 고군분투는 이미 우리 기타계에 밑거름이 되어 크고 작은 열매들을 맺고 있다. 그녀가 클래식 음악의 본원(本源)이라 할 수 있는 바흐의 음악으로 돌아왔다. 바흐에 대해, 기타에 대해 그녀가 가진 깊이 있는 소리를 직접 들어 보았다.
ISSUE
24 슈만의 내면을 항해하다 2024 줄라이 페스티벌 '슈만이라는 바다' – 윤태경
28 혁신과 혁신의 만남 고잉홈프로젝트 : 베토벤 전곡 시리즈 – 김희선
32 청춘들의 멜로디 연세 비르투오지 뮤직 페스티벌, 모차르트 – 구은빈
음악 IN 만남
36 모차르트도 피와 살이 있는 인간이었습니다! 작가 이채훈 & 피아니스트 조재혁 – 김희선
음악사에서, 아니 인류 역사에서 최고의 천재로 불리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최근 피아니스트 조재혁과 작가 이채훈이 각각 소나타 전곡 연주와 평전 출간으로 모차르트에 대한 애정을 선언해 눈길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들이 가진 모차르트에 대한 생각이 기존의 것들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는 데 있다. 천재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보다 인간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이들의 모차르트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ZOOM IN COMPOSER
42 손끝에서 탄생한 전자음악의 세계 작곡가 이돈응 – 윤예원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음악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돈응(1958~)의 전자음악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며 그러한 변화의 지점을 모두 포함한다. 그의 작품들은 단순히 기계를 거쳐 생산된 것이 아니다. 그는 직접 기기를 만들거나 손수 프로그래밍하며 '손끝에서' 자신의 음악을 창작하였다. 음악과 테크놀로지의 접목은 이돈응의 작품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 그의 전자음악 작품이 오늘날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그가 직접 고른 다섯 개의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작곡가 이돈응의 음악 세계를 이해해보자.
CONCERT STAGE
48 로데아트센터 개관음악회 시리즈 Ⅱ 듀오 비비드 – 김희선
50 7월에 불어오는 목관의 바람 한국의 젊은 아티스트 박예람, 김홍박, 유성권 – 구은빈
INTERVIEW
56 당신의 행복한 순간에 기억되기를 소프라노 김순영 – 윤예원
58 장르의 이해도를 높이다 피아니스트 박종화 – 윤태경
클래식 네트워크
60 2024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 김희선
63 2024 게자 안다 피아노 콩쿠르 – 박마린
VIEW POINT
66 위기의 페르남부코(Pernambuco) – 윤태경
활 제작에 사용되는 페르남부코 나무는 현재도 활의 원재료로 가장 널리 쓰인다. 주로 브라질에서 자라는 이 나무는 목질이 단단해 활이 좀처럼 휘거나 변형되지 않는 큰 장점이 있어 활 제작자들이 가장 애호하는 재료로 통한다. 그런 나무가 최근 브라질 정부로부터 멸종 위기로 분류돼 수출 규제가 엄격해지는 바람에 활 제작자들이 최대 위기에 놓였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생태학자들이 주장하는 '윤리적 한계'에도 어느 정도 일리는 있어 보이지만, 이 '윤리적 한계'가 활 제작자로서의 '직업적 신념'과 상충돼 규제 완화에 험로가 예상될 것으로 보인다.
NOW AND FUTURE
69 한국 오케스트라 이야기 7 지자체 예술단의 위기 – 이홍경
이번 호에서는 현재 심각한 문제의 중심에 서 있는 군산시립예술단 이야기를 다룬다. 왜 군산시립예술단은 존폐 위기에 처하게 됐을까? 대한민국 문화예술계 역사상 지자체 시의회가 예술단을 축소하고 나아가 폐단의 길로 유인하고 있는 유일무이한 이번 사태를 짚어 보고, 사안의 심각성에 공감한 독일 오케스트라 연합회 '유니소토(Unisono)'의 대표 제럴드 메르텐스(Gerald Mertens CEO)가 보내 온 성명서를 공개한다.
연습에서 무대까지
72 서울시립교향악단의 과거와 미래의 교향곡: AI의 선율 – 윤예원
21세기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 인공지능(AI)의 창작은 가장 눈 여겨볼 지점이다. 지금까지 인간만의 것으로 여겨졌던 예술의 영역에서 AI는 어떤 것들을 시도하고 있을까. 지난 5월 28일과 30일 개최된 <2024 서울시향 퇴근길 토크 콘서트>을 통해 이러한 AI의 새로운 시도를 직접 감상해볼 수 있었다. ChatGPT가 만들어낸 타이틀 '과거와 미래의 교향곡: AI의 선율'로 진행된 이번 공연에서는 박주용 교수의 이야기를 담아보았다. AI 작품과 음악적 호흡을 주고 받으며 연주회를 완성시킨 그들의 시선과 함께 AI 작품의 연주 실황을 자세히 살펴보자.
작곡수업, 인생수업
75 "좋아하는 '작곡가'가 누구니?" – 박의홍
무대 아래 이야기
76 한계 없는 예술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구호 – 구은빈
연출가이자 디자이너로 활약 중인 정구호. 패션 브랜드 <KUHO>를 론칭하며 이름을 알린 그는 오페라 연출에도 힘쓰고 있다. 2023년 10월, 성남아트센터와 함께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을 선보였으며, 지난 5월 청소년을 위한 오페라 <마술피리> 역시 그의 연출을 거쳤다. 장르를 불문하고 자신만의 색채를 투영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구호를 만나 오페라 연출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세계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보았다.
정태남의 MUSIC & TRAVEL
80 라트비아 / 리가(Riga) 발트해로 울려 퍼지는 세계 최대의 합창 – 정태남
원고지 옆 오선지
82 판타지 문학과 마법의 음악 I. 마법의 고전, 모차르트 – 임야비
음악의 언어
84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 윤태경
NEW BOOK & NEW RECORDING
86 양성원의 〈에코 오브 로망스〉 외 – 구은빈
앙코르 2.0
89 격정의 20대, 불같은 사랑 – 정재엽
REVIEW
90 독보적인 추진력과 맹렬한 타건 금호 Exclusive | 엘리소 비르살라제 Piano – 윤태경
91 한계 없는 표현의 자유 임윤찬 피아노 리사이틀 – 김희선
폭발적인 에너지와 한계 없는 표현력으로 자신만의 '전람회의 그림'을 완성한 피아니스트 임윤찬. 열광과 충격에 휩싸였던 현장을 스케치했다.
92 진정한 모차르트의 재현 아마데우스 2024 :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 – 유혁준
CONCERT PREVIEW
94 최수열의 밤 9시 즈음에 외 – 구은빈
96 CONCERT CALENDAR
99 EDITORIAL
100 정기구독 안내
CONTENTS Vol. 415 2024.07
발행인 생각
10 1등만 주목하는 사회 – 이홍경
NEWS
12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이달 24일 개막 외 – 윤태경
COVER STORY
16 섬세하게 친밀하게 기타리스트 박규희 – 김희선
한국과 일본, 유럽을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 중인 기타리스트 박규희는 고운 외모와 달리 여전사 같은 행보를 보여주는 연주자다. 클래식 기타를 알리고 전하기 위한 그녀의 아름다운 고군분투는 이미 우리 기타계에 밑거름이 되어 크고 작은 열매들을 맺고 있다. 그녀가 클래식 음악의 본원(本源)이라 할 수 있는 바흐의 음악으로 돌아왔다. 바흐에 대해, 기타에 대해 그녀가 가진 깊이 있는 소리를 직접 들어 보았다.
ISSUE
24 슈만의 내면을 항해하다 2024 줄라이 페스티벌 '슈만이라는 바다' – 윤태경
28 혁신과 혁신의 만남 고잉홈프로젝트 : 베토벤 전곡 시리즈 – 김희선
32 청춘들의 멜로디 연세 비르투오지 뮤직 페스티벌, 모차르트 – 구은빈
음악 IN 만남
36 모차르트도 피와 살이 있는 인간이었습니다! 작가 이채훈 & 피아니스트 조재혁 – 김희선
음악사에서, 아니 인류 역사에서 최고의 천재로 불리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최근 피아니스트 조재혁과 작가 이채훈이 각각 소나타 전곡 연주와 평전 출간으로 모차르트에 대한 애정을 선언해 눈길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들이 가진 모차르트에 대한 생각이 기존의 것들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는 데 있다. 천재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보다 인간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이들의 모차르트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ZOOM IN COMPOSER
42 손끝에서 탄생한 전자음악의 세계 작곡가 이돈응 – 윤예원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음악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돈응(1958~)의 전자음악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며 그러한 변화의 지점을 모두 포함한다. 그의 작품들은 단순히 기계를 거쳐 생산된 것이 아니다. 그는 직접 기기를 만들거나 손수 프로그래밍하며 '손끝에서' 자신의 음악을 창작하였다. 음악과 테크놀로지의 접목은 이돈응의 작품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 그의 전자음악 작품이 오늘날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그가 직접 고른 다섯 개의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작곡가 이돈응의 음악 세계를 이해해보자.
CONCERT STAGE
48 로데아트센터 개관음악회 시리즈 Ⅱ 듀오 비비드 – 김희선
50 7월에 불어오는 목관의 바람 한국의 젊은 아티스트 박예람, 김홍박, 유성권 – 구은빈
INTERVIEW
56 당신의 행복한 순간에 기억되기를 소프라노 김순영 – 윤예원
58 장르의 이해도를 높이다 피아니스트 박종화 – 윤태경
클래식 네트워크
60 2024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 김희선
63 2024 게자 안다 피아노 콩쿠르 – 박마린
VIEW POINT
66 위기의 페르남부코(Pernambuco) – 윤태경
활 제작에 사용되는 페르남부코 나무는 현재도 활의 원재료로 가장 널리 쓰인다. 주로 브라질에서 자라는 이 나무는 목질이 단단해 활이 좀처럼 휘거나 변형되지 않는 큰 장점이 있어 활 제작자들이 가장 애호하는 재료로 통한다. 그런 나무가 최근 브라질 정부로부터 멸종 위기로 분류돼 수출 규제가 엄격해지는 바람에 활 제작자들이 최대 위기에 놓였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생태학자들이 주장하는 '윤리적 한계'에도 어느 정도 일리는 있어 보이지만, 이 '윤리적 한계'가 활 제작자로서의 '직업적 신념'과 상충돼 규제 완화에 험로가 예상될 것으로 보인다.
NOW AND FUTURE
69 한국 오케스트라 이야기 7 지자체 예술단의 위기 – 이홍경
이번 호에서는 현재 심각한 문제의 중심에 서 있는 군산시립예술단 이야기를 다룬다. 왜 군산시립예술단은 존폐 위기에 처하게 됐을까? 대한민국 문화예술계 역사상 지자체 시의회가 예술단을 축소하고 나아가 폐단의 길로 유인하고 있는 유일무이한 이번 사태를 짚어 보고, 사안의 심각성에 공감한 독일 오케스트라 연합회 '유니소토(Unisono)'의 대표 제럴드 메르텐스(Gerald Mertens CEO)가 보내 온 성명서를 공개한다.
연습에서 무대까지
72 서울시립교향악단의 과거와 미래의 교향곡: AI의 선율 – 윤예원
21세기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 인공지능(AI)의 창작은 가장 눈 여겨볼 지점이다. 지금까지 인간만의 것으로 여겨졌던 예술의 영역에서 AI는 어떤 것들을 시도하고 있을까. 지난 5월 28일과 30일 개최된 <2024 서울시향 퇴근길 토크 콘서트>을 통해 이러한 AI의 새로운 시도를 직접 감상해볼 수 있었다. ChatGPT가 만들어낸 타이틀 '과거와 미래의 교향곡: AI의 선율'로 진행된 이번 공연에서는 박주용 교수의 이야기를 담아보았다. AI 작품과 음악적 호흡을 주고 받으며 연주회를 완성시킨 그들의 시선과 함께 AI 작품의 연주 실황을 자세히 살펴보자.
작곡수업, 인생수업
75 "좋아하는 '작곡가'가 누구니?" – 박의홍
무대 아래 이야기
76 한계 없는 예술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구호 – 구은빈
연출가이자 디자이너로 활약 중인 정구호. 패션 브랜드 <KUHO>를 론칭하며 이름을 알린 그는 오페라 연출에도 힘쓰고 있다. 2023년 10월, 성남아트센터와 함께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을 선보였으며, 지난 5월 청소년을 위한 오페라 <마술피리> 역시 그의 연출을 거쳤다. 장르를 불문하고 자신만의 색채를 투영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구호를 만나 오페라 연출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세계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보았다.
정태남의 MUSIC & TRAVEL
80 라트비아 / 리가(Riga) 발트해로 울려 퍼지는 세계 최대의 합창 – 정태남
원고지 옆 오선지
82 판타지 문학과 마법의 음악 I. 마법의 고전, 모차르트 – 임야비
음악의 언어
84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 윤태경
NEW BOOK & NEW RECORDING
86 양성원의 〈에코 오브 로망스〉 외 – 구은빈
앙코르 2.0
89 격정의 20대, 불같은 사랑 – 정재엽
REVIEW
90 독보적인 추진력과 맹렬한 타건 금호 Exclusive | 엘리소 비르살라제 Piano – 윤태경
91 한계 없는 표현의 자유 임윤찬 피아노 리사이틀 – 김희선
폭발적인 에너지와 한계 없는 표현력으로 자신만의 '전람회의 그림'을 완성한 피아니스트 임윤찬. 열광과 충격에 휩싸였던 현장을 스케치했다.
92 진정한 모차르트의 재현 아마데우스 2024 :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 – 유혁준
CONCERT PREVIEW
94 최수열의 밤 9시 즈음에 외 – 구은빈
96 CONCERT CALENDAR
99 EDITORIAL
100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