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Vol. 411 2024.03
발행인 생각
10 변화가 필요한 오디션 문화 – 이홍경
NEWS
12 美 맨해튼 음대 총장 4월 방한···서울서 2차례 환영회 개최 외 – 윤태경
COVER STORY
16 건반 위 마법사, 음악을 탐험하다 피아니스트 다닐 트리포노프 – 김희선
작품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연주로 전 세계 클래식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다닐 트리포노프. 음악 안에 자신의 모든 것을 던져 작품 내면의 소리를 빚어내는 그 비밀을 파헤쳐 본다.
ISSUE
24 이탈리아 음악의 향연 800번째 정기연주회 갖는 KBS교향악단 – 김희선
26 순간 속의 영원 2024 통영국제음악제 – 임세열
CONCERT STAGE
29 젊은 패기와 연륜의 만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라벨,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 – 임세열
32 바흐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다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의 <바흐 요한 수난곡> – 윤태경
음악 IN 만남
34 바흐는 영감을 주는 음악가입니다! 한양대 명예교수 강해근 & 카운터 테너 정민호 – 김희선
우리나라 고음악 성장을 견인한 강해근 교수와 우리나라 대표 카운터 테너로 떠오르고 있는 정민호가 만나 고음악의 의미와 매력 그리고 바흐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다.
ZOOM IN COMPOSER
40 경계의 불확실성 앞에 서다 작곡가 이재문 – 임세열
이재문의 음악에서 ‘다채로움’이란 다층적인 의미를 띤다. 각기 다른 개성의 여섯 작품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탐험해 보자.
INTERVIEW
46 Hommage to Composer 비올리스트 김세준 – 윤태경
48 다시, 음악의 본질로 첼리스트 박건우 – 윤태경
VIEW POINT
50 입시 이슈로 들여다본 교육환경의 모순 음악대학 입시 전형 – 윤태경
음악계 어두운 입시 비리 관행이 대입 전형에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현재 음대 입시 전형 절차를 해외 사례와 연계하여 비교, 분석해 본다.
NOW AND FUTURE
54 한국 오케스트라 이야기 3 단원 채용 전형 및 수습 기간 – 김희선
악흥의 순간
58 마지막 남은 마음의 조각 박흥우, 정태양의 <겨울 나그네> – 윤태경
작곡 수업, 인생 수업
60 케이크 한 조각 – 박의홍
연습에서 무대까지
62 스티브 라이히의 '전자 대위' – 이원석
클래식 네트워크
66 프랑스 19세기 음악 연구소 빨라제토 브뤼 자네 방문기 – 박마린
프랑스 낭만주의 음악의 부흥을 위한 브뤼 재단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그들의 인류문화유산 보존을 향한 열정과 헌신을 살펴 본다.
음악 IN 생각
70 아티큘레이션에 관하여 레가토와 논레가토에 대한 단상 – 임성우
MUSIC AND TRAVEL
72 슬로바키아/돌나 크루파(Dolná Krupá) ‘월광 소나타’에 담긴 젊은 베토벤의 꿈 – 정태남
원고지 옆 오선지
74 두 이야기와 두 음악 한여름 밤의 호두까기 인형 – 임형우
앙코르 2.0
76 아일랜드의 여름, 파사칼리아, 그리고 당신 – 정재엽
음악의 언어
78 아르농쿠르의 『바로크음악은 ‘말’한다』 – 김희선
NEW BOOK & NEW RECORDING
80 피아니스트 베조드 압두라이모프 <Shadows of My Ancestors> 외 – 임세열
현장라이브
84 배우고 소통하고 성장하다 2024 음악저널 겨울음악학교 – 김희선
REVIEW
88 베를린에서 불어온 싱그러운 바람 2024 우드윈드페스티벌 오프닝 콘서트 – 임세열
89 슈베르트에서 발견한 대조의 미학 폴 루이스 피아노 리사이틀 – 임세열
90 장엄한 삶 위 찬란한 예술꽃 소프라노 박혜상 리사이틀 [숨: Breathe] – 윤태경
CONCERT PREVIEW
92 안네 소피 무터 바이올린 리사이틀 외 – 윤태경
94 CONCERT CALENDAR
99 EDITORIAL
100 정기구독안내
CONTENTS Vol. 411 2024.03
발행인 생각
10 변화가 필요한 오디션 문화 – 이홍경
NEWS
12 美 맨해튼 음대 총장 4월 방한···서울서 2차례 환영회 개최 외 – 윤태경
COVER STORY
16 건반 위 마법사, 음악을 탐험하다 피아니스트 다닐 트리포노프 – 김희선
작품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연주로 전 세계 클래식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다닐 트리포노프. 음악 안에 자신의 모든 것을 던져 작품 내면의 소리를 빚어내는 그 비밀을 파헤쳐 본다.
ISSUE
24 이탈리아 음악의 향연 800번째 정기연주회 갖는 KBS교향악단 – 김희선
26 순간 속의 영원 2024 통영국제음악제 – 임세열
CONCERT STAGE
29 젊은 패기와 연륜의 만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라벨,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 – 임세열
32 바흐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다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의 <바흐 요한 수난곡> – 윤태경
음악 IN 만남
34 바흐는 영감을 주는 음악가입니다! 한양대 명예교수 강해근 & 카운터 테너 정민호 – 김희선
우리나라 고음악 성장을 견인한 강해근 교수와 우리나라 대표 카운터 테너로 떠오르고 있는 정민호가 만나 고음악의 의미와 매력 그리고 바흐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다.
ZOOM IN COMPOSER
40 경계의 불확실성 앞에 서다 작곡가 이재문 – 임세열
이재문의 음악에서 ‘다채로움’이란 다층적인 의미를 띤다. 각기 다른 개성의 여섯 작품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탐험해 보자.
INTERVIEW
46 Hommage to Composer 비올리스트 김세준 – 윤태경
48 다시, 음악의 본질로 첼리스트 박건우 – 윤태경
VIEW POINT
50 입시 이슈로 들여다본 교육환경의 모순 음악대학 입시 전형 – 윤태경
음악계 어두운 입시 비리 관행이 대입 전형에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현재 음대 입시 전형 절차를 해외 사례와 연계하여 비교, 분석해 본다.
NOW AND FUTURE
54 한국 오케스트라 이야기 3 단원 채용 전형 및 수습 기간 – 김희선
악흥의 순간
58 마지막 남은 마음의 조각 박흥우, 정태양의 <겨울 나그네> – 윤태경
작곡 수업, 인생 수업
60 케이크 한 조각 – 박의홍
연습에서 무대까지
62 스티브 라이히의 '전자 대위' – 이원석
클래식 네트워크
66 프랑스 19세기 음악 연구소 빨라제토 브뤼 자네 방문기 – 박마린
프랑스 낭만주의 음악의 부흥을 위한 브뤼 재단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그들의 인류문화유산 보존을 향한 열정과 헌신을 살펴 본다.
음악 IN 생각
70 아티큘레이션에 관하여 레가토와 논레가토에 대한 단상 – 임성우
MUSIC AND TRAVEL
72 슬로바키아/돌나 크루파(Dolná Krupá) ‘월광 소나타’에 담긴 젊은 베토벤의 꿈 – 정태남
원고지 옆 오선지
74 두 이야기와 두 음악 한여름 밤의 호두까기 인형 – 임형우
앙코르 2.0
76 아일랜드의 여름, 파사칼리아, 그리고 당신 – 정재엽
음악의 언어
78 아르농쿠르의 『바로크음악은 ‘말’한다』 – 김희선
NEW BOOK & NEW RECORDING
80 피아니스트 베조드 압두라이모프 <Shadows of My Ancestors> 외 – 임세열
현장라이브
84 배우고 소통하고 성장하다 2024 음악저널 겨울음악학교 – 김희선
REVIEW
88 베를린에서 불어온 싱그러운 바람 2024 우드윈드페스티벌 오프닝 콘서트 – 임세열
89 슈베르트에서 발견한 대조의 미학 폴 루이스 피아노 리사이틀 – 임세열
90 장엄한 삶 위 찬란한 예술꽃 소프라노 박혜상 리사이틀 [숨: Breathe] – 윤태경
CONCERT PREVIEW
92 안네 소피 무터 바이올린 리사이틀 외 – 윤태경
94 CONCERT CALENDAR
99 EDITORIAL
100 정기구독안내